세특은 학생들의 활동과 과제, 학습태도 등 여러 데이터를 종합해 꼼꼼하게 작성해야 하는 만큼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데요.⌛💪
이제 공학도서관의 <공도 생기부 세특 AI>로 보다 효율적으로 생기부 세특을 작성해보세요. 학생들이 제출한 과제와 과제 수행 소감, 선생님이 입력한 학생 특성을 바탕으로 공도 AI가 똑똑하게 초안을 생성해드려요.✍️
공도 AI는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교육부의 생활기록부 작성 가이드를 준수한 세특 작성에 특화된 생성형AI 모델이에요.😉 생기부에 기재할 수 없는 금지어를 반영해 내용을 생성하며, 우수 세특 사례를 학습해 학생별 특성과 성취도를 담은 맞춤형 세특을 제공해요. 공도 AI만 있으면 처음부터 모든 문장을 작성해야 하는 막막함과 부담감을 크게 줄일 수 있어요.😊
공도 AI, 어떻게 사용하는 건지 궁금하시다고요❓
영상으로 먼저 확인하신 후, 단계별로도 차근차근 하나씩 짚어드릴게요.🌟
📖과제 및 소감, 학생 특성만 넣으면 5분만에 세특 초안이 뚝딱!
1. 먼저 공학도서관 학습공간에 접속해 로그인을 해주세요. 구글, 카카오, 네이버 계정을 이용해 간편하게 회원가입을 하실 수 있어요.🙌
2. 왼쪽에 보이는 탭에서 ‘공도 AI’ 탭을 클릭하면, 과제 제출한 학생 목록을 볼 수 있어요. 이중에서 ‘고옹도’ 학생의 세특을 생성해볼게요.💫
3. ‘세특 생성하기’ 버튼을 누르면 그동안 학생이 제출했던 과제들의 요약본과 각 과제 별로 학생이 작성한 소감을 볼 수 있어요.🔍
4. 세특 내용에 반영하기를 원하는 과제 또는 과제와 과제 소감 모두를 선택하고, 학생 특성도 반영하고 싶다면 해당 학생 특성도 입력해주세요.⌨️
5. 이제 세특 생성할 준비 끝! 아래에 보이는 ‘세특 생성하기’ 버튼을 클릭해주세요.
6. 생성된 세특 정보가 입력된 박스를 클릭하면 세특 내용이 클립보드에 복사되니, 다른 곳에 붙여 넣어 사용하시면 돼요.☺️
선생님, 어떠신가요? 공도 AI를 활용하면 세특 초안을 손쉽게 작성하실 수 있겠죠?이렇게 공도 AI는 선생님들의 생기부 세특 작업 부담을 확! 덜어드릴 수 있어요.👍 게다가 생기부 작성 가이드에 따라 학생이 제출한 과제와 과제 수행 후 작성한 소감을 바탕으로 세특 내용이 생성되니 신뢰도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어요. 여기에 선생님이 학생 특성까지 입력하면 더욱 풍성한 생기부 세특 초안이 완성돼요. 이렇게 만들어진 초안은 복사 후 다른 곳에서 자유롭게 수정, 편집할 수 있어요.😊
23일에 발행되는 뉴스레터에서는 공도 학습공간의 또 다른 주요 기능인 공도의 다양한 콘텐츠를 수업에 마음껏 활용할 수 있는 '수업’과 학생들의 과제를 간편하게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는‘과제’ 사용법을 소개해드릴게요.👨🏫✍️
선생님의 업무 효율을 높여주고 더 풍성한 수업을 만들어 주는 공도 학습공간은 2월 5일 공식 오픈해요. 학습공간에서 제공되는 모든 기능을 알차게 활용하면 수업 구성부터 관리까지 더 알차고 효율적으로 하실 수 있다는 사실, 잊지 마세요!🫡